본문으로 건너뛰기

week 2. 컴포넌트 제작을 위한 라이브러리

작성일: 2025-03-16

banner.webp

1. 강의 진도표

DE (3/10~3/14)

Day 5 (과제必)

  • 컴포넌트 준비 세팅과 입력 컴포넌트 만들어보기 파트 1

Day 6

  • 입력 컴포넌트 만들어보기 파트 2

Day 7 (과제必)

  • 디스플레이 컴포넌트 만들어보기 파트 1

Day 8

  • 디스플레이 컴포넌트 만들어보기 파트 2

Day 9

  • Q&A 온라인 세션 진행

2. 파운데이션

01.webp 결론부터 말하자면 1주차 강의를 재수강했습니다. 파운데이션을 완벽하게 정의할 줄 알아야 컴포넌트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. Primary , Semantic 개념을 Color, Text, 기타 베리어블 등에 적용하는 인터페이스 생성 과정을 이해하고 넘어갔습니다. 단순히 순서를 외우고 출력하기를 반복한다면 스스로 만들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.


3. 중간 점검

02.webp 03.webp 04.webp 05.webp

PLG의 개념과 예시, 피그마 사용 개발자가 필요한 기술에 대해 설명해주셨습니다. 개발자에게 시간은 성능과 동일하기 때문에 프로그램 개발자는 더 빠르게 데이터를 출력하고 저장하게 만들어야 한다면, 프로덕트 개발자는 최대한 빠르게 요구사항에 맞는 내용을 제출할 수 있어야 합니다.


후기

펼치기

Liked : 좋았던 점은 무엇인가?

  • 이전 내용 복습
    • 1주차 내용을 재수강 하면서 피그마 컴포넌트에 필요한 개념을 이해했습니다.

Lacked : 아쉬웠던 점, 부족한 점은 무엇인가?

  • 너무 많은 플러그인
    • 도움이 되는 플러그인도 많지만 잘 사용하지 않게 되는 것들도 당연히 존재하기 때문에 업무에서 사용하는 플러그인을 추려내는 것에 시간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.

Learned : 배운 점은 무엇인가? (깨달은것, 인사이트, 기억하고 싶은 것 등)

  • 개념 확립
    • 라이브러리는 인터페이스와 비슷한 개념이기 때문에 사용해도 되고 하지 않아도 되지만 사용하게 된다면 속성값을 참조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합니다. 어떤 컴포넌트를 만들고자 할 때 컴포넌트의 종류에 따라 사용하는 색깔, 텍스트 등이 달라지기 때문에 사용하는 컴포넌트에 맞는 라이브러리를 만들어주어야 합니다.

Longed for : 앞으로 바라는 것은 무엇인가? (앞으로 어떤 행동을 할것인지)

  • 컴포넌트 제작
    • 2주차 내용인 컴포넌트 실습에서 필요한 속성을 파악하고 제작할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.